Linux 운영체제(OS)에 대해 학습했다.
Linux는 CLI 형식으로, 사용자가 쉘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커널을 통해 하드웨어로 명령이 전달되는 구조이다.
<Linux 기본 명령어>
명령어의 옵션매뉴얼을 보기 위해서는 --help를 붙인다.
/etc/bin 의 장소에 명령어가 위치해 있고 인터프리터를 확인할 수 있다.
- $ whoami : 로그인한 사용자의 ID를 반환하는 명령어
- $ passwd : 로그인한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- $ pwd(print work directory) :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반환하는 명령어로, 현재 작업 중이거나 사용자가 위치한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준다.
- $ cd(change directory) : 디렉토리를 이동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
- $ ls(list segments) :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로, 파일과 디렉토리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디렉토리와 특정 파일의 내용을 제공한다.
- $ clear : 터미널에 출력된 내용을 지우는 명령어
- $ mkdir :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명령어
- $ rmdir :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
- $ rm -r : 디렉토리와 디렉토리 내부의 내용을 모두 삭제하는 명령어
- $ touch : 비어있는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
- $ cp :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어
- $ mv : 파일을 이동하거나 파일명을 변경하는 명령어
- $ cat :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
- $ nano : 파일을 편집하는 명령어
- $ rm :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
- $ wget : 데이터가 로컬에 있지 않고 리모트에 존재할 경우 다운받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
- $ eog : 이미지 파일을 열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(== $ xdg-open)
ls의 옵션
- $ ls -a : 숨김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을 보여준다.
- $ ls -l : 디렉토리와 파일의 권한에 대한 상세한 형식을 보여준다.
drwxr-xr-x 2 yjlee yjlee 4096 1월 8 11:24 Desktop
- d : 디렉토리를 의미한다. cf.) - : 파일, l : 링크
- rwxr-xr-x : 순서대로 소유자의 권한, 그룹의 권한, 일반인의 권한을 의미한다.
- r : 읽기 권한(숫자 4의 크기)
- w : 쓰기 권한(숫자 2의 크기)
- x : 실행 권한(숫자 1의 크기)
'한화시스템 BEYOND SW캠프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주차] 24.01.15 월요일 (1) | 2024.01.15 |
---|---|
[1주차] 24.01.12 금요일 (1) | 2024.01.12 |
[1주차] 24.01.11 목요일 (0) | 2024.01.11 |
[1주차] 24.01.10 수요일 (0) | 2024.01.10 |
[1주차] 24.01.09 화요일 (1) | 2024.01.09 |